
개발에 철학을 담지 않으면, 단순한 코더일 뿐이다.
서론
아홉 번째 멘토링 시간이 되었다.
오늘부터는 Java 가 아닌, Web 에 대한 전반적인 공부가 시작된다.
물론 Java 와 관련된 공부는 꾸준히 복습을 하고 있다.
저번주에는 아팠던 만큼, 이번 주에는 열심히 해야겠다는 생각이 들어 더욱 의욕적으로 공부한 거 같다.
참고로 현재 진행하고 있는 포트폴리오 개발은 계속 링크만 남길 예정이다.
현재는 큰 틀을 개발하는 중이다. >>> 해당 프로젝트 깃허브
8주차 이론 내용 정리
* 프로세스 vs 스레드에 관한 간단한 개념에 대하여 TIL 블로그에 정리하였다. >>> 포스팅 클릭
* TCP vs UDP에 관한 간단한 개념에 대하여 TIL 블로그에 정리하였다. >>> 포스팅 클릭
본론
오늘부터는 최범균의 JSP 에 관한 질문이 오고갔다.
정확히는 JSP 를 공부하는 것이 아니라, JSP 를 보고 웹에 대한 전반적인 지식을 공부하는 것이 목표이다.
예를들면 오늘 질문 답변에서는 URL 과 URI의 차이라거나 웹에서 www.google.com 을 검색하면 내부적으로 어떤 일이 벌어지는데, 서블릿이란 무엇인지, 실행과정은 어떻게 되는지 등에 대하여 이야기 하였다.
책은 두껍지만, 웹 부분만 선택적으로 공부하기 때문에 금방 끝날 것 같다.
이후에는 프로젝트 관련된 이야기가 오고갔다.
URL 선정, Exception 처리 등이 미흡하다고 피드백을 주셨고 그 부분을 수정할 예정이다.
해야 할 것
다음 멘토링까지 해야하는 것은,
- 최범균의 JSP 웹프로그래밍 공부
- 코딩테스트 공부
- 개인 프로젝트 진행
결론
아직 갈 길이 멀다.
안좋은 의미가 아니라, 개발자라는 직업이 얼마나 많은 공부를 해야하는지를 절실히 깨닫고 있다.
그러나 나는 공부하는 것이 즐겁다.
하나하나 지식을 얻을 때마다 스스로 스펙업이 되는 것 같아 즐겁다.
포트폴리오가 완성되고, 면접 준비까지 완료하여 빠른 시일내에 다시 취업이 하고 싶다.
'일반 회고록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 F-lab ] 멘토링 11주차 회고록 : 객체지향과 스프링의 시작 (1) | 2024.01.03 |
---|---|
[ F-lab ] 멘토링 10주차 회고록 : 절반 (0) | 2023.12.29 |
[ F-lab ] 멘토링 8주차 회고록 : 컨디션 관리 (0) | 2023.12.14 |
[ F-lab ] 멘토링 7주차 회고록 : 프로젝트 시작 (0) | 2023.12.04 |
[ F-lab ] 멘토링 6주차 회고록 : 조금씩 익어가는 이론 (1) | 2023.11.29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