
백 번 눈으로 하는 공부보다, 한 번 제대로 코딩하는게 많이 남는다.
서론
일곱 번째 멘토링 시간이 되었다.
어느정도 이론이 마무리 되어가고, 이제 토이 프로젝트에 들어갈 시점이 되었다.
개발 과제
1. 병렬 프로그래밍과 비동기 메서드로 수정할 수 있는 서비스는 수정을 해보라고 하셨다. 해당 과제 관련 포스팅
2. 그 부분에 대한 추가 피드백을 받아 수정하였다. 해당 과제 관련 포스팅
6주차 이론 내용 정리
* final은 무엇인가에 대하여 질문을 받았고 개인 TIL 블로그에 정리하였다. >> 포스팅 클릭
* 예외에 대하여 질문을 받았고 개인 TIL 블로그에 정리하였다. >> 포스팅 클릭
* 어노테이션에 대하여 질문을 받았고 개인 TIL 블로그에 정리하였다. >> 포스팅 클릭
* Shallow Copy vs Deep Copy 에 대하여 질문을 받았고 개인 TIL 블로그에 정리하였다. >> 포스팅 클릭
* 제네릭에 대하여 질문을 받았고 개인 TIL 블로그에 정리하였다. >> 포스팅 클릭
* 1 ~ 6주차 멘토링에 질문받았던 내용 중 짧은 내용들은 해당 포스팅에 한 번에 개인 TIL 블로그에 정리하여 추가하였다. 해당 페이지로 이동한다.
본론
오늘 멘토링도 컨디션 체크와 함께 시작되었다.
이제부터는 개별 토이 프로젝트를 진행해보라고 하셨다. 주제는 스스로 정해보고, 잘 모르겠으면 F-lab 깃허브를 참고하라고 하셨다.
그리고 이제 슬슬 상시 모집 기업들에 이력서를 넣어보라고 하셨다. 현재 이력서로 어느정도까지 지원이 가능하고, 면접은 어떻게 준비하는 지 등의 과정이 필요하다고 조언해주셨다.
그 후 다시 멘토링 질문 답변으로 이어졌다.
오늘은 Collection 과 Hash 관련한 질문이 이어졌다.
또한 오늘은 실제 현업에서 낙관적 락과 분산 락 그리고 보상 트랜잭션이 어떻게 사용되는지도 배웠다.
실제 현업에서 사용하는 방법을 배우니 매우 흥미로웠다.
해야 할 것
다음 멘토링까지 해야하는 것은,
- Java의 신 공부
- 코딩테스트 공부
- 스프링 공부
- 개인 프로젝트 시작
- 기업 이력서 넣어보기
결론
이제 토이프로젝트와 함께 조금씩 이력서도 제출해 볼 것이다.
여태까지 준비한 여러 과정들이 좋은 결과로 돌아오면 좋겠다.
'일반 회고록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 F-lab ] 멘토링 9주차 회고록 : 웹 (0) | 2023.12.24 |
---|---|
[ F-lab ] 멘토링 8주차 회고록 : 컨디션 관리 (0) | 2023.12.14 |
[ F-lab ] 멘토링 6주차 회고록 : 조금씩 익어가는 이론 (1) | 2023.11.29 |
[ F-lab ] 멘토링 5주차 회고록 : 습관 (0) | 2023.11.23 |
정보처리기사 자격증 과연 필요할까? ( 정보처리기사 합격 회고록 ) (2) | 2023.11.18 |